카테고리 없음 / / 2023. 5. 21. 21:10

수화가 꽃피는 마을

728x90
반응형

이 책은 프랑스 비두를르 강가 작은 마을에 청각장애인 푸르네 가족이 이사 온 후 벌어지는 이야기를 폴루 할아버지를 통해 들려주는 형식의 책입니다. 푸르네 가족이 마을 사람들과의 편견을 뛰어넘어 수화로 따뜻한 우정을 전하며 소통해 가는 이야기를 따뜻하게 그려냈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소통과 통합이란

이 책은 농아 푸르네 가족과 마을 사람들이 차이와 편견을 넘어 '수화'로 소통하며 지혜와 유머의 생생한 목소리로 하나가 되는 과정을 그린 청소년 소설입니다. 19세기 청각장애인 청년 '장'의 편지에서 마을에 숨겨진 비극적 역사를 보여주며 푸르네 가족과 마을 주민들의 화합의 의미를 극대화하고 청각장애인들의 삶과 역사에 대한 이해를 넓혔습니다. 100년의 시간을 넘어 같은 공간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는 '장애란 무엇인가', '진정한 통합은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이 소설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편지 글에서 가끔 언급되는 장 페르가 살았던 1860년대 후반까지의 역사적 배경을 알아야 합니다. 장 페르가 다녔던 생자크 국립학교는 프랑스인 ㄹ페에 의해 1760년에 설립된 세계 최초의 청각장애인 학교였습니다. 레페는 프랑스 문법식 수화를 만들어 체계화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수화법에 기반을 둔 청각장애인교육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러나 독일에서는 1778년 하이니케의 책임 하에 구화를 사용하는 공립 청각장애인학교가 설립된 이후 구화법에 기반을 둔 청각장애인교육이 발전했습니다. 한편 미국에서는 1817년 갈로뎃에 의해 최초의 청각장애인 학교가 설립된 이후 수화법에 기반을 둔 교육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1876년 허바드가 구화법에 기반을 둔 클라크 구화학교를 설립하면서 새로운 흐름을 형성했습니다. 세계적으로 수화법과 구화법을 둘러싼 논쟁이 확산돼 가는 가운데 1880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국제농교육자회의에서 구화법을 보편적인 교육방법으로 채택합니다. 즉 구화와 수화의 동시 사용은 말하기, 읽기, 사회의 정확성을 기하는 데 방해가 되므로 순수한 구화법이 채택되어야 한다고 결의합니다. 밀라노 회의 폐막 구호인 '구화여 영혼 하여라'라는 외침은 바로 전 세계 청각장애인교육계에 퍼져 나갑니다. 이렇게 구화 교육이 권위를 갖고 일반화되자 대부분의 청각장애인학교에서 수화 사용은 금지되었고, 교사들 역시 구화가 가능한 사람으로 채워져 나갔습니다. 이것이 바로 장 페르가 겪어야 했던 엄청난 고통과 비극의 역사적 배경입니다.

어쩌면 몰라도 그렇게 모를 수가

세계은행 발표에 따르면, 현재 지구촌에는 허가받지 않은 나라들을 포함하여 약 229개국이 있습니다. 세계의 많은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는 약 22개 정도입니다. 만약 내가 모르는 언어를 사용하는 그룹에 가입한다면, 나는 언어 장벽에 부딪힐 것입니다. 폴루 할아버지는 이 경험을 통해 자신이 무엇을 했는지 뒤늦게 깨닫습니다. 

"학창 시절 몇 년씩이나 들여서 영어를 배웠지만 내 평생 외국인을 만나서 영어를 써야 했던 경우는 고작 두세 번뿐이었잖아! 아마 공무원들 거의가 '안녕하십니까', '무슨 일로 오셨지요?', '이 서식을 작성해 주십시오' 정도의 말은 영어로 할 줄 알겠지만 수화는 전혀 모른단 말이지, 심지어 어떤 사람은 개나 모르모트의 언어, 그런 것까지 배우려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인가의 언어, 그것에 관심이 없단 말인가" "이 나이가 되어서야 청각장애인들이 있다는 걸 발견했으니 얼마나 멍청한가. 그 사람들은 예전부터 늘 있어왔는데 말이야. 어쩌면 몰라도 그렇게 모를 수 있었을까?" 그렇다. 폴루 할아버지가 깨달았듯이, "무지에 대한 최악의 것은, 자신이 모른다는 것조차 모르는 것"입니다.

유동적인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

프랑스 남부 카마르그의 작은 마을에 사는 파울로는 집을 팔지만 고속도로변에 있는 집이라 쉽게 팔리지 않습니다. 집을 보러 오는 사람들은 모두 고개를 저으며 가버립니다. 어떤 사람들은 심지어 그들이 그들의 집을 절대 팔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때 청각장애인 가족이 와서 집을 둘러보았고, 마침내 집이 팔릴 정도로 만족했습니다. 수화 통역사를 통해 청각장애인 가족과 대화를 나누는 폴루 할아버지는 이런 낯선 경험에 큰 충격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적극적으로 말하는 그들의 언어를 이해하지 못했고 그들의 말은 아무 소용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폴루 할아버지는 누가 장애인인지 오히려 자신이 장애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눈을 가진 사람이 한 눈만 가진 사람이 사는 곳에서 비정상적인 것처럼 말합니다. 따라서 인간 사회에서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는 항상 유동적이며, 인간 사회에서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무의미한 사고방식임을 분명히 경험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실, 병원, 직장, 상점 등 어디서나 청각장애인들이 의사소통을 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파울루는 청각장애인들이 무언가를 정확하게 처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통역사가 따라야 하는 모순을 봅니다. 폴루 할아버지는 말이 지성의 유일한 징표가 아니라, 우리가 하나님에 대한 모든 생각, 심지어는 생각을 말없이 글이나 몸짓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